충치치료 비용은 충치의 크기에 따라서 간단하게 때우거나 부분 보철 (인레이, 온레이)가 필요한 경우, 신경치료나 크라운 치료한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오늘 설명드릴 것은 충치치료 중 가장 작은 치료라고 볼 수 있는 때울 수 있는(충전) 충치치료 비용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레진 충치치료 비용. 건강 보험 적용이 될까?
충치 치료를 진단받게 되면 제일 먼저 충치치료를 하기 위해 재료를 선택하게 됩니다. 재료는 흔히들 많이 들어보셨을 만한 레진이라는 재료가 있습니다. 이 레진이라는 재료는 성인이 충치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고, 비보험으로 진행하셔야 하는 재료입니다. 비보험이기 때문에 충치치료 비용은 높을 수밖에 없으며 치과마다 설정한 금액에 따라 진료비의 차이가 클 수 있습니다. 보통 비보험으로 레진 충치치료를 진행하게 될 경우 7~15만 원 정도의 금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다수의 치료를 진행할 경우에 치료비의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레진 충치치료 건강보험을 받을 수는 없을까?
성인의 경우에는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없고 치과 사보험을 통한 보험혜택만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만 12세 이하의 어린이의 경우 건강보험 적용을 받아 레진 충전치료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아동, 청소년기에 충치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충치의 진행속도가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아동, 청소년의 주요 의료비 지출요인으로 보장성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2019년 1월 1일부터 만 12세 이하의 어린이에게 광중합형 레진 충치치료가 보험으로 적용되게 되었습니다. 보험이 적용됨에 따라 1 치아당 25000원 정도로 부담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이 건강보험 레진 충치치료는 유치에는 해당이 되지 않으며 영구치 치아의 충치치료에 한해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성인도 가능한 건강보험 충치치료는 없을까?
성인의 경우도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충전 재료가 있습니다. 그 재료의 이름은 글래스아이오노머(G.I)라고 부르는 재료인데 이는 성인과 아동, 청소년에게 모두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재료입니다. 글래스아이오노머의 경우 1 치아당 본인 부담금은 1만 원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보험 레진과 글래스아이오노머(G.I)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심미성 : 두 가지 재료 모두 치아색의 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심미성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레진의 경우 투명도를 가지기 때문에 치아에 충전했을 때 거의 눈에 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글라스 아이오노머의 경우 치아색을 가지긴 하였지만 투명도가 거의 없는 탁한 우윳빛, 아이보리색을 가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강도 : 글라스 아이오노머 의의 경우 레진보다 강도가 약한 편이기 때문에 사용을 하다 보면 와동의 변연 부위가 떨어져 나가고 부분적으로 파절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령대가 젊은 분들에게 큰 어금니 쪽의 충치치료는 GI 재료보다는 레진의 재료를 추천드립니다.
접착력 : 가장 큰 차이라고도 할 수 있고, 중요한 차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접착력입니다. 레진의 경우 중간 접착제를 사용하여 탈락될 가능성을 낮추지만 GI의 경우 재료 자체가 치아와 화학적 결합을 일으키지만 레진보다는 접착력이 약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접착력의 차이로 인해 GI 충치치료를 할 경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치아의 삭제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비교를 했을 때 GI재료보다는 레진이라는 재료를 더 추천드리지만 본인의 상태에 맞는 필요한 재료의 선택이 필요합니다. 교합력을 많이 받지 않는 전치부(앞니), 소구치(작은 어금니)에 다수로 작은 크기의 충치가 존재할 경우에는 비용적 부담이 큰 레진보다는 GI의 재료가 적합할 수 있으며, 우식 활성도가 높은 사람의 경우 (충치의 발생 속도, 진행속도가 빠른)에는 불소를 유리하여 항우식 효과(충치에 저항함)가 있는 GI 재료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댓글